네트워크 엔지니어 & 개발자 로엘이

 

지난 포스팅에서 L4 스위치 성능시험의 산출물과 산출물을 자세히 살펴봐야 하는 이유와 시험항목들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성능시험 결과보고서에 쓰이는 용여와 다양한 옵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공통항목

DUT (Device Under Test)

시험 또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장치/소자와 같은 요소들을 말한다. 테스트하게 되는 대상물로써, L4 스위치를 테스트하고 있다면 이 L4 스위치를 DUT라고 말한다.

RFC3511 방법론

RFC 3511은 2003년에 제정된 표준으로 방화벽의 성능 벤치마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전달, 접속, 지연, 필터링의 4개 영역에서 방화벽 성능에 관한 처리율, 지연시간,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 용량, TCP 연결 생성/해지율,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전송률 등의 시험항목을 다루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나 호스트, 데이터소스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상 서버/클라이언트를 이용한다. 이러한 방화벽 테스트는 가상 서버와 클라이언트 응용계층의 요소를 명시하여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에 종속되지 않게 구현한다. L4-L7 계층의 시험항목을 나타내고 있어, L4 스위치의 성능 시험 항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2003년에 제정된 오래된 표준으로써 실제 네트워크 트래픽과 유사한 시험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시험 방법이 필요하다.

시험환경

성능시험은 DUT의 최적의 환경을 갖춰 시행하기 때문에 실제 네트워크 환경과는 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능시험 결과서를 보면 성능시험을 수행한 DUT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정보와 시험장비(계측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정보 그리고 시험 구성환경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를 시험 환경이라고 한다.

성능시험 결과보고서를 자세히 보면 결과보고서의 시험결과는 결과보고서의 시험환경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는 의미의 구문을 볼 수 있다.

 

계측기 설정

성능시험에는 결과에 대한 공신력 확보를 위해 전문적인 장비를 사용한다.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한 것처럼 계측기에서 설정한 조건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어 이 부분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이 포스팅은 Spirent社의 Avalanche장비를 기준으로 작성된 성능시험 결과서에 대해 기술하였다.

Client/Server IP pool

성능시험에 사용될 가상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사용한 IP의 계수와 서브넷과 관련된 카테고리다.

Test load

계측기에서 생성되는 트래픽과 관련된 카테고리다.

Load Specification

계측기에서 입력된 조건을 통해 트래픽을 생성할 기준이다. 대표적으로는 입력된 조건을 기준으로 DUT의 처리량에 따라 계측기에서 생성되는 트래픽량을 조절하는 SimUsers와 DUT의 상태와 상관없이 입력된 기준만큼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SimUsers/second가 있다.

Delay

성능시험 시작 후 DUT의 헬스체크와 같은 서버의 Status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대기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Ramp up

목표한 트래픽을 한번에 발생시키면 DUT 처리에 문제가 될 수 있기에 목표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예시로 6만 CPS를 측정하는데 Ramp up 시간이 60초라면 1초에 천씩 늘리며 60초에 6만 CPS에 도달하게 설정된다.

Steady state

목표한 수치의 트래픽 처리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Ramp down

목표한 트래픽 수치를 처리하던 중 성능시험이 갑작스럽게 종료되면 DUT, 가상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세션 처리에 에러나 드롭이 발생할 수 있기에 Stady state 구간 이후에 성능시험 종료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Height

목표한 트래픽 발생을 위한 가중치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SimUsers/second를 기준으로 CPS 측정을 위한 공식은 Height * Actions이다.

Actions

계측기의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발생 시킬 트래픽의 목적지와 방식을 설정하는 카테고리다.

Actions list

get, put, turbotcp 등의 사용할 메서드나 프로토콜과 목적지 IP와 몇 번 반복하는지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예시로 TPS를 시험하는데 get http://1.1.1.251 (10회)라면 1.1.1.251 IP로 1 세션당 10번의 트랜젝션을 주고받게 설정된다.

Think time

CC 시험에서 사용되는 옵션으로 생성된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Protocol

프로토콜과 옵션과 관련된 카테고리다.

TCP only, HTTP 1.0. HTTP 1.1

성능시험에 사용될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Keep_Alive, Persistent

해당 기법을 사용하였는지 유무를 기록하는 항목이다.

Connection Termination With [FIN or RST]

TCP 세션을 FIN으로 종료할지 RST로 종료할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Content-Length

계측기에서 발생시킬 트래픽의 크기와 관련된 카테고리다.

HTTP Response size

HTTP로 성능시험 할때 사용할 트래픽의 크기를 기록하는 항목이다.

마무리하며

2회 차의 포스팅에 걸쳐 성능시험 성적서와 관련하여 왜 성적서를 결과보고서까지 보아야 하는지와 결과보고서의 내용들을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포스팅을 읽으시는 분들이 실업무에서 성적서 확인 시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끝 -

728x90
반응형
250x25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